삶의 경계에서 마주한 내면의 소리, 그리고 성인의 진짜 건강
- well-to-do73003
- 8월 8일
- 2분 분량
성인이 된다는 것은 단지 생물학적 나이를 의미하지 않는다. 삶의 고비를 마주하고, 아픔과 회복을 반복하면서 비로소 자신만의 철학과 기준을 만들어가는 여정이다. 특히 죽음의 문턱까지 다녀온 사람들의 이야기는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의 의미를 다시 묻게 한다. 생과 사의 경계를 경험한 이들은 공통적으로 ‘삶의 진짜 가치’에 대한 통찰을 얻게 되었다고 말한다.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을 숫자로 환산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혈압, 혈당, 체질량지수, 콜레스테롤 수치 등은 물론이고, 하루 만 보 걷기와 같은 정량적인 목표들이 ‘건강한 삶’을 정의하는 잣대처럼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육체가 멀쩡해 보여도 정서적으로나 영적으로 완전히 소진된 상태라면 과연 그를 건강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임사체험(NDE)을 경험한 사람들의 공통된 이야기에는 ‘평온함’과 ‘빛’, ‘자기 자신과의 분리’가 등장한다. 뇌의 생리학적 반응으로만 설명하기에는 너무도 복잡하고도 일관된 이 현상은, 우리가 단지 육체에 국한된 존재가 아님을 시사한다. 다시 말해, 진정한 건강이란 몸과 마음, 그리고 영혼까지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균형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성인의 건강을 말할 때, 단순히 병원 진료기록에 문제가 없다고 안심해서는 안 된다. 과연 하루하루를 어떤 마음가짐으로 살아가고 있는가? 나를 지탱하는 관계는 건강한가? 몸은 말을 듣지 않는데 마음은 억지로 웃고 있지는 않은가? 혹은 정반대로, 몸은 멀쩡하지만 마음은 너무 오래 방치돼 있진 않았는가?
삶의 의미를 되돌아보게 하는 체험들은 대개 극적인 상황 속에서 발생한다. 그러나 꼭 사고나 심정지와 같은 충격적인 사건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스스로를 돌아볼 기회를 만들 수 있다. 잠시 바쁜 일상을 멈추고, 숲을 거닐며 숨을 고르고,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차분히 묻는 순간이 필요하다. 정신적 회복은 물리적 건강만큼이나 중요한 치유의 출발점이 된다.
또한, 외부 자극과 정보가 넘치는 시대에 내면의 소리를 듣는 일은 더욱 어려워졌다. 스마트폰 알림이 멈추는 순간조차 불안하게 느껴진다면, 지금이야말로 휴식이 필요한 신호일 수 있다. 명상이나 요가, 혹은 단순한 ‘디지털 디톡스’도 훌륭한 방법이다. 몸의 감각에 집중하고, 머릿속을 비우는 연습은 스트레스로부터 한걸음 멀어지게 해준다.
성인 건강의 핵심은 자기 인식이다. 내가 무엇을 두려워하고, 어떤 욕망에 끌리며, 무엇이 진정한 나를 만족시키는지를 명확히 아는 것. 그 위에서 생활습관이 정리되고, 진짜 필요한 인간관계가 정립되며, 마음이 안정된다. 그리고 이는 결국 면역력, 호르몬 균형, 수면의 질 등 물리적 건강과도 긴밀히 연결된다.
죽음 가까이서 삶의 의미를 깨달았다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하나의 상징처럼 다가온다. ‘그때서야 비로소 알았다’는 말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는 지금, 살아 있는 이 순간부터 스스로의 삶을 재정비해야 한다. 건강은 단지 병의 유무가 아니라, 내가 나답게 살아가는 힘이다.
지금, 당신의 몸과 마음은 같은 방향을 보고 있는가? 아니면 서로 멀어진 채, 따로 움직이고 있는가? 삶의 균형을 회복하는 첫 걸음은 그 질문에 솔직하게 답하는 데서 시작된다.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