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검색

조용히 다가오는 고혈압성 망막병증, 예방이 최선입니다

  • well-to-do73003
  • 8월 9일
  • 2분 분량

고혈압은 흔히 ‘침묵의 살인자’로 불립니다. 뚜렷한 증상 없이 진행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장, 뇌, 신장뿐 아니라 눈 건강에도 심각한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중 고혈압성 망막병증은 시력을 서서히 위협하는 질환으로, 초기에 특별한 불편함이 없어 발견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ree

망막은 눈 속 깊은 곳에 위치한 신경조직으로, 빛을 감지해 뇌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고혈압이 오래 지속되면 이 미세혈관에 압력이 가해져 혈관 벽이 두꺼워지고 탄력이 떨어집니다. 초기에는 혈관이 가늘어지고 곧게 뻗은 모양이 변형되며, 심하면 혈관 벽이 손상되어 출혈이나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진행되면 시야가 흐려지고, 심각할 경우 시력 손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특히 50세 이상 성인이나 오랫동안 고혈압을 앓아온 경우, 그리고 혈압 조절이 잘 되지 않는 사람은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아집니다. 문제는 이 질환이 당뇨병과 달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 않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지 않으면 조기 발견이 어렵다는 점입니다. 시력이 뚜렷하게 떨어진 후 병원을 찾으면 이미 상당 부분 손상이 진행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혈압 관리가 우선입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인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혈관 손상 위험이 급격히 높아지므로, 생활습관 개선과 필요 시 약물 치료를 병행해 안정적인 수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매일 30분 이상 유산소 운동을 하며, 금연과 절주를 실천하는 생활습관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40세 이후에는 1년에 한 번 이상 안과에서 안저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 검사는 망막과 시신경 상태를 직접 확인해 미세한 혈관 변화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사람이라면 증상이 없어도 정기 검진을 거르지 않아야 합니다.


고혈압성 망막병증은 한 번 손상되면 되돌리기 어렵지만, 조기에 발견해 혈압을 철저히 관리하면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작은 생활습관 변화와 정기 검진이 시력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시력은 한 번 잃으면 되돌릴 수 없다는 점을 기억하고, 오늘부터라도 혈압과 눈 건강을 함께 챙기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Comments


© 2035 by Phil Steer . Powered and secured by Wix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