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엄한 마무리를 위한 선택, 그리고 남겨진 이들을 위한 준비
- well-to-do73003
- 8월 8일
- 2분 분량
죽음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는 삶의 한 조각이지만, 그 과정을 어떻게 마주하느냐에 따라 삶의 마지막이 전혀 다른 의미로 남게 됩니다. 병상에 누운 채 길게 이어지는 고통, 반복되는 무의미한 치료, 점점 지쳐가는 가족들 이 모든 것이 죽음을 두려운 것으로 만드는 이유일지 모릅니다. 그래서일까요. 최근 우리 사회는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죽을 것인가’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삶의 마지막을 준비한다는 건 결코 죽음을 앞당긴다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남은 시간을 조금 더 나답게, 편안하게 살아가려는 의지입니다. 많은 이들이 죽음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요소로 ‘통증’을 꼽습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통증 그 자체보다 그 고통을 오롯이 지켜봐야 하는 가족에게 미안한 마음, 혹은 점점 무기력해지는 자신에 대한 허망함이 숨어 있습니다. 결국 ‘고통 없는 죽음’이란 말 속에는 단순히 육체적 고통만이 아니라, 정신적 고통과 가족에 대한 배려까지 함께 담겨 있는 셈입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조력 존엄사는 바로 이런 맥락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고통 속에서 생의 마무리를 맞이하는 이들에게 자기결정권을 존중받으며 존엄하게 죽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자는 목소리입니다. 하지만 단순히 찬반의 문제가 아닙니다. 중요한 건, 생명을 다하는 그 순간까지도 한 인간으로서의 품위와 의지를 지킬 수 있도록 제도적, 사회적으로 어떤 장치를 마련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러나 조력 존엄사만이 ‘좋은 죽음’의 답은 아닙니다. 오히려 더 근본적인 질문은, 우리가 얼마나 죽음에 대해 준비하고 있는가입니다. 많은 이들이 병을 마주한 뒤에야 ‘그때 미리 생각해둘 걸’ 하고 후회합니다. 연명의료에 대한 의향을 가족과 논의하지 못해, 막상 결정의 순간이 닥치면 남은 이들이 깊은 갈등에 빠지게 되기도 합니다. 사랑하는 이를 위해, 혹은 스스로의 뜻을 존중받기 위해서라도 죽음을 둘러싼 준비는 더 이상 금기시되어선 안 됩니다.
성인 건강을 이야기할 때, 질병 예방이나 운동, 식단처럼 눈에 보이는 요소만 중요하다고 여겨지곤 합니다. 하지만 삶의 끝자락에서의 건강은 단지 육체적 상태를 넘어서, 자신이 어떻게 마무리되길 바라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죽음을 준비한다는 건 단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기 위한 방패가 아니라, 오늘을 더 충실히 살아가기 위한 나침반이기도 합니다.
죽음 앞에서 나의 선택이 존중받기를 바란다면, 지금 이 순간부터 우리는 삶의 마지막에 대해 이야기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은 누군가의 몫이 아닌, 결국 나 스스로의 책임이기도 합니다. 끝을 준비한다는 건 끝나기 전까지의 시간을 더 온전히 살겠다는 다짐입니다. 지금부터라도 그 다짐을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
Comments